고운 (북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운은 고구려 왕족 출신으로 후연에서 활약하다가 북연을 건국한 인물이다. 후연의 모용보를 섬기며 서양공에 봉해졌고, 모용운으로 개명했다. 407년 북연의 천왕으로 즉위하여 고운으로 다시 이름을 바꾸고 고구려와 외교 관계를 맺었으나, 409년 측근에게 암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09년 사망 - 북위 도무제
북위 도무제는 386년 북위를 건국하고 화북 통일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주변 세력을 정벌하고 한족 문화를 수용했으나 만년에 폭정을 일삼다 아들에게 살해당했다. - 북연의 황제 - 풍발
풍발은 407년 후연을 멸망시키고 북연을 건국하여 고구려계 고운을 왕으로 옹립했으나 고운 암살 후 스스로 천왕이 되었으며, 용성을 수도로 삼고 유연과 동맹하여 북위와 대립하다 430년 사망 후 북연이 멸망했다. - 북연의 황제 - 풍홍
풍홍은 오호십육국시대 북연의 마지막 천왕으로, 형 풍발 사후 스스로 천왕에 올랐으나 북위의 압박과 고구려에서의 불손한 태도로 인해 장수왕에게 살해당했다. - 후연의 장군 - 적료
적료는 오호십육국시대 정령족 출신 군벌로, 후연에 복속했으나 반란을 일으켜 위를 건국하고 위천왕을 칭하며 황하 유역에서 세력을 확장, 동진과 후연에 대항했다. - 후연의 장군 - 모용린
모용린은 전연 왕 모용수의 서자이자 후연의 장군로, 후연 건국에 공을 세웠으나 여러 반란을 일으켜 모용씨를 곤경에 빠뜨리고 남연에서 반란을 꾀하다 처형되어 후연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고운 (북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혜의제 고운 |
칭호 | 천왕 |
가문 | 고씨 (출생), 모용씨 (입양) |
씨족 | 해당 없음 |
성 | 원래 고(高), 397–407 모용(慕容), 407년 다시 고(高)로 변경 |
휘 | 운(雲) |
자 | 자우(子雨) |
묘호 | 해당 없음 |
시호 | 혜의황제(惠懿皇帝, "인자하고 자애로운") |
통치 | |
재위 기간 | 407년 9월 16일 – 409년 11월 6일 |
연호 | 정시(正始) |
연호 기간 | 407년–409년 |
추존 왕호 | 대연 천왕(大燕天王) |
계승 | 모용성(후연) |
후계 | 풍발 |
출생과 사망 | |
사망일 | 409년 11월 6일 |
가계 | |
아버지 | 고발 |
어머니 | 해당 없음 |
배우자 | 이황후 |
왕조 | |
왕조 | 북연 또는 후연 |
기타 | |
한국어 이름 | 고운(高雲) |
로마자 표기 | Go Un |
2. 생애
고운의 조상은 고구려 왕족 출신이었다. 모용황이 고구려 군대를 격파하고 일시적으로 수도 환도를 점령했을 때, 고구려 왕족 다수를 포로로 잡아 청산(오늘날의 랴오닝성 진저우)으로 이주시켰고, 그들의 후손은 전연과 후연의 신하가 되었다.[8]
397년 당시 고운은 모용보 (혜민황제)의 행정부에서 중급 관료였는데, 북위의 군사적 압박을 받은 모용보는 수도 중산(오늘날의 허베이성 바오딩)을 버리고 옛 전연 수도인 용성(龍城, 역시 진저우)으로 피난하려 했다. 가는 길에 그의 아들 모용회는 동생 모용책(慕容策)이 자신보다 먼저 황태자로 책봉된 것에 앙심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 모용보는 용성에 도착했지만 모용회는 용성을 포위했다. 어느 날 밤, 고운은 약 100명의 병사를 이끌고 모용회의 진영을 기습하여 모용회의 군대가 붕괴되게 했다. 모용회는 중산으로 도망가 그곳에서 죽임을 당했다. 고운의 공헌으로 모용보는 그를 서양공(西陽公)으로 임명하고 양자로 삼았으며, 그의 이름은 모용운으로 바뀌었다. 이때 그는 훗날 북연의 두 번째 황제가 되는 풍발과 친분을 맺었는데, 모용운은 과묵한 성격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에게 호감을 사지 못했지만, 풍발은 그에게 지혜와 관용이 있음을 알아봤다.[2]
406년, 모용희 (소문황제) 치세 하에서 모용운은 주장이었는데, 모용희의 아내 부순영 황후의 사주로 모용희가 고구려를 공격하여 많은 병사들이 전투가 아닌 추위로 사망하는 재앙이 발생했다. 모용운 자신도 전투 중 화살을 맞아 부상을 입었고, 모용희의 잔혹함을 두려워하여 이를 핑계 삼아 관직을 사임하고 집에 머물렀다.[9]
407년 여름, 부 황후가 사망했다. 모용희는 그녀를 너무 슬퍼하여 그녀를 위해 웅장한 묘를 지으라고 명령했다. 관리들은 모두 부 황후를 위해 울도록 강요받았고, 눈물을 흘리지 못하는 자는 엄중히 처벌받았기에 매운 음식을 입에 넣어 눈물샘을 자극했다. 결국 모용희는 부 황후의 장례 행렬을 따라 용성을 떠났다.
모용희가 용성을 떠난 후, 풍발과 그의 형제 풍소부(馮素弗)는 사촌 풍만니(馮萬泥)와 공모하여 반란을 일으키기로 했다. 그들은 장군 장흥(張興)과 그해 초 실패한 쿠데타 시도에서 장군 부진(苻進)과 이전에 공모했던 사람들의 도움을 받았다. 풍발은 모용운과 친분이 있었기에 모용운을 그들의 지도자로 설득했고, 그들은 재빨리 궁궐을 점령하고 성문을 폐쇄했다. 이후 모용운은 천왕으로 선포되었다.
모용희는 용성으로 돌아와 자신의 저택인 용등원(龍騰苑) 밖에 자리 잡고 도시를 공격할 준비를 했다. 이때 황실 경비병 저두(褚頭)가 그에게 도망쳐 황실 경비병들이 모용희가 공격하자마자 모용운에게 반기를 들 준비가 되어 있다고 알렸다. 그러나 알 수 없는 이유로 모용희는 이 소식에 당황하여 도망쳤다. 그의 장군 모용발(慕容拔)은 용성에 대한 공격을 유지하려고 했고 처음에는 성공했지만, 병사들이 모용희가 도망쳤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하면서 붕괴되었고, 모용발은 풍발의 군사들에게 죽임을 당했다.
그날 늦게 모용희는 숲에서 평민 옷을 입은 채 발견되어 체포되어 모용운에게 넘겨졌다. 모용운은 그에게 죄를 직접 읽어주고 그와 그의 아들을 참수했다.
이후 모용희가 사망하자, 모용운은 본래의 성인 고(高)씨 성을 회복했다. 그는 자신이 백성들에게나 자신의 왕좌에 기여한 바가 적다고 느껴 불안감을 느껴 많은 숙련된 경호원들을 고용하여 자신을 보호하게 했다. 그는 이반(離班)과 도인(桃仁)이라는 두 광대를 총애하여 이반과 도인에게 경비를 맡겼다. 그는 그들에게 막대한 부를 하사했고, 그들의 음식과 의복은 고운 자신의 것과 견줄 만했다. 정부 관련 문제에 있어서는 주요 사항들이 대부분 풍발과 그의 형제 풍사부, 풍유진, 풍홍 및 사촌 풍만니, 그리고 손호와 무은제의 손에 달려 있었다.
408년, 고운은 그의 아내 이 부인을 황후로 봉하고, 그의 아들 고팽성을 태자로 책봉했다. 그는 또한 모용희와 부황후를 황제의 예에 따라 장례를 치렀다. 이 무렵 고구려의 왕인 광개토대왕이 그에게 사신을 보내 평화로운 관계를 맺고, 고운과 당시 고구려 왕실과의 관계를 확인하려 했다. 고운 역시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관계를 확인했다. 그는 모용귀를 요동공(遼東公)으로 임명하고, 모용귀에게 모용 선조들을 계속해서 숭배하도록 했다.
409년 겨울, 고운은 암살당했는데, 그 원인과 범위가 미스터리하다. 《진서》와 《자치통감》을 포함한 전통적인 역사 기록은 이반과 도인이 고운의 총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만을 품고 있었고, 그 불만으로 인해 고운을 암살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암살의 진정한 이유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고운의 아내 이 황후 또한 이 사건으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풍발은 암살 소식을 듣고 군대를 준비하고 상황이 명확해지기를 기다렸지만, 그의 병사 장태와 이상 두 명이 궁궐로 진격하여 이반과 도인의 목을 베었다. 관리들은 모두 풍발이 왕위에 오르는 것을 지지했고, 그는 그렇게 했다. (고운의 아들 고팽성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풍발은 나중에 고운과 이 황후를 황제의 예로 장례를 치렀는데, 특이하게도 휘(이름자)를 고려하지 않고 고운의 이름을 조서에 사용했다.
2. 1. 가계와 후연에서의 활동
고운은 고구려 왕족 출신으로, 355년 전연의 모용황이 낙랑군을 함락시켰을 때 청산(오늘날의 랴오닝성 진저우)으로 이주된 사람들의 후손이었다.[8] 그는 후연의 제2대 황제 혜민제 모용보가 태자로 있었을 때 무관으로서 모용보를 섬겼다. 모용보가 황제에 즉위한 후에는 시어랑(侍御郞) 벼슬을 받았으나, 병으로 인해 얼마 지나지 않아 물러났다.[2]397년, 모용보의 서자 모용회가 모용책이 태자가 된 것에 앙심을 품고 반란을 일으켜 궁궐을 공격했다. 이때 고운은 군사를 거느리고 싸워 반란군을 진압했다.[8] 이 공으로 모용보는 고운을 양자로 삼고 석양공(夕陽公)에 봉했으며, 모용씨를 하사하여 모용운(慕容雲)이라는 이름을 쓰게 되었다.[2] 모용운은 생각이 깊고 차분한 성격이었으며, 훗날 북연의 두 번째 황제가 되는 풍발과 두터운 친분을 쌓았다.[2]
406년, 폭군 모용희의 시대에 후연은 황후 부훈영의 제안으로 고구려를 공격했다. 그러나 요동성을 함락시키지 못하고, 목저성에서 대패하여 많은 병사들이 추위로 사망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모용운도 이 전투에서 화살에 맞아 부상을 입었고, 모용희의 잔혹함을 두려워하여 관직을 사임했다.[9]
2. 2. 북연 천왕 즉위와 암살
고운은 음력 4월에 황제로 즉위하여 자신의 성을 본래의 성인 고(高)씨로 되돌렸다. 스스로를 천왕(天王)으로 칭하고 연호를 정시(正始)라 하였으며, 죄수들에 대한 사면령을 내렸다. 거사를 주도한 풍발을 시중(侍中)으로 삼았다.[1]나라 이름은 그대로 대연(大燕)이라 하였으나, 오늘날은 모용씨가 지배하던 시기와 구분하여 모용희가 지배하던 때까지를 후연(後燕), 고운의 등극 이후를 북연(北燕)으로 구분하고 있다.[17]
408년에는 고구려 광개토태왕이 사신을 보내 종족의 예를 베푸니, 고운도 북연의 시어사(侍御史) 이발(李拔)을 보내어 이에 답례하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운이 고구려 왕족 혈통이라는 것에 주목하여 광개토대왕이 두 나라의 연대를 강화하고 고구려에 이득이 되는 상황을 만들려 했다고 한다. 또한 같은 해에 고운은 부인 이(李)씨를 황후로, 아들 고팽성을 황태자로 책봉하였다.
재위 3년째인 409년 겨울, 고운은 총신(寵臣)인 이반(離班)과 도인(桃仁)에게 암살당했다.[14] 암살자들을 처단하고 고운의 뒤를 이어 즉위한 풍발이 혜의황제(惠懿皇帝)라는 시호를 올렸다.
3. 가계
- 아내 : 이황후
- 아들 : 고팽성[15]
4. 기타
중국 학계는 『진서』, 『일주서』 등의 문헌을 근거로 고운을 고구려족의 조상이며 고양씨의 후손으로 연결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고구려족의 난생 신화, 조우관 풍습, Gwisin|귀신영어 사상 등이 고양씨와 공통된다는 점을 강조한다.[16]
고운은 태왕사신기 (2007년 MBC 드라마)와 광개토태왕 (2011년~2012년 KBS 드라마) 등 대중 매체에서도 등장한다.
4. 1. 고운과 고양씨의 관계 논란
중국 학계는 『진서』 「모용운재기」에서 모용운의 조부인 고화는 고구려족이지만, 고양씨의 후손이므로 고씨를 칭하고, 모용운의 본래 이름은 "고운"이라는 기사를 근거로 "고양씨→고이족→고구려족"으로 연결시켜, 고구려족의 조상은 고이족이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고양씨라고 본다.[16] 중국 학계는 『일주서』 「왕회해」도 증거로 드는데, 이 책은 고대 중국의 소수 민족과 그 분포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진의 공조가 "고이"에 대해 "고이 동북이 고구려"라고 주석을 달아 고구려족을 고이족의 자손으로 보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 학계는 고구려족의 선조인 고이족과 고양씨를 연결시키고, 고이족의 기원을 고양씨로 확정하며, "난생 신화, 조우관(새의 깃털로 장식된 모자)의 풍습, Gwisin|귀신영어 사상 등이 공통된다"고 주장하며 고구려족을 고양씨의 자손이라고 주장한다.[16]4. 2.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서적
Asia majo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09-19
[2]
문서
『晋書』巻125「慕容雲載記」
[3]
뉴스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東アジア文化交渉学会
2014
[4]
뉴스
三國史記 卷第二十八 百濟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5]
뉴스
三國史記 卷第十八 髙句麗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6]
뉴스
의자왕 義慈王
http://terms.naver.c[...]
韓国人文古典研究所
[7]
뉴스
광개토왕 廣開土王
https://terms.naver.[...]
韓国人文古典研究所
[8]
문서
『晋書』巻124「慕容宝載記」
[9]
문서
『資治通鑑』「晋紀」巻114
[10]
문서
三崎『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P109
[11]
문서
『晋書』『魏書』等
[12]
문서
『晋書』巻125「馮跋載記」
[13]
문서
三崎『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P110
[14]
문서
『資治通鑑』「晋紀」巻115
[15]
문서
三崎『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P111
[16]
뉴스
"고구려는 조기 중국의 소수민족정권입니다.”
https://www.khan.co.[...]
2014-10-08
[17]
문서
고운을 후연의 마지막 황제로 보고 [[풍발]]이 등극한 시기를 [[북연]]으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여기서는 《[[삼국사기]]》에서 [[북연]]이라 부른 것을 따랐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